본문 바로가기
728x90

분류 전체보기48

구구단 출력 프로젝트 04 - 뷰(View) 출력방식 수정 기존의 뷰(View)에서는 3중 for문을 이용하여 직각삼각형 모양의 화면을 만들어내었다. 기존의 소스에서는 3중의 for문을 반복하면서 위의 형태로 구구단을 출력해주는 형태였다. 우선 세로줄을 만들어주고 가로줄을 반복적으로 채워주고 한 칸을 채워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. var src = ""; for (i = firstTimesNumber; i < value.length; i++) { // 첫번째 단 ~ 마지막 단 까지 출력(세로방향) src += ""; for (k = firstTimesNumber; k 2 * 1 = 2 ... 출력 var color = (k % 2 == 1) ? "" : ""; src += color + value[k][j] + " "; } src += ""; } src += ".. 2021. 10. 11.
구구단 출력 프로젝트 03 - 컨트롤러(Controller) 만들기 1. 만들어둔 모델(Model)인 TimesTableService를 연결한다. @Autowired TimesTableService timesTableService; Autowired를 사용하면 Controller에서 새로운 객체를 만들거나 할 필요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. 2. 브라우저에서 "localhost:8080/" 을 호출하면 home.jsp로 연결한다. @RequestMapping(value = "/", method = RequestMethod.GET) public String home() { return "home"; } home.jsp로 연결시키기 위해 return 값을 "home"으로 주었다. servlet-context.xml 파일에 ViewResolver로 .jsp가 bean 등록되어있기.. 2021. 10. 10.
구구단 출력 프로젝트 02 - 뷰(View) 만들기 1. home.jsp 파일에 html의 태그를 이용하여 "첫 단", "마지막 단", "마지막 곱할 수"를 입력하고 버튼을 클릭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. 계산하기 placeholder를 이용하여 화면에 고정적으로 나타나있도록 하였다. button의 경우 default 값이 "submit"이기 때문에 이를 type="button"으로 변경해주었다. 후에 ajax 호출을 통하여 가져온 결과값을 출력해둘 곳으로 id="resultDiv" 의 div 영역을 만들어두었다. 2. 버튼을 클릭하면 ajax를 호출하여 controller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. $('button').on('click', function() { var inputValue = { 'firstTimes' : Number($('#f.. 2021. 10. 9.
로컬에 만든 프로젝트 깃헙과 연동하기 1. 로컬에 프로젝트를 만든다. 2. github에 repository를 만든다. 3.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-> Git Bash Here을 클릭한다. 4. git 설정을 한다. // 로컬저장소로 설정한다. git init // 로컬저장소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. (선택사항) git status // Github 원격저장소와 연결한다. git remote add origin [github 원격저장소 주소] // 연결된 원격저장소를 확인한다. (선택사항) git remote -v // 파일을 준비영역으로 옮긴다. git add . // 간단한 커밋 메시지 입력 후 커밋 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 // 원격저장소에 저장한다. git push -u origin main 2021. 10. 8.
728x90